기관사칭 및 대출사기형 등과 신종수법까지 다양

보이스피싱 피해 급증에 따라 당국이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사기범들의 수법은 진화하고 다양해지고 있다.

보이스피싱 피해 급증에 따라 당국이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사기범들의 수법은 진화하고 다양해지고 있다. <사진=김동현 기자>

29일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보이스피싱의 주요 유형은 크게 기관사칭형과 대출사기형으로 나뉘며 최근에는 휴대폰 앱을 이용하는 등 수법이 나날이 진화되고 있다.

먼저 기관사칭형은 경찰 및 검찰, 금융감독원을 사칭한 후 범죄 연루를 이유로 예금 보호나 불법자금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접근하는 유형이다.

실제로 지난 3월께 50대 남성이 서울중앙지검 검사를 사칭한 사기범에 속아 3천500만원을 입금해 피해를 당했다.

당시 사기범은 “대포통장 사건 수사 중이니 금융계좌 돈의 불법자금여부 확인 후 돌려주겠다”고 속인 것으로 드러났다.

대출사기형은 금리인상과 어려운 경제사정 등으로 인해 대출 희망자들의 약점을 이용해 금융기관을 사칭해 대출을 해주겠다며 접근하는 수법이다.

은행직원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사기범은 지난 2월께 60대 남성을 상대로 “기존 대출금을 상환하면 신용등급이 상향돼 저금리 대출이 가능하다”고 속여 2천500만원을 입금 받아 가로챘다.

최근에는 휴대폰 앱을 이용하는 등 수법이 나날이 진화되고 있어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휴대폰에 특정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유도한 후 원격 조정을 통해 현금서비스나 카드론 대출을 받아 가로채는 수법이다.

최근 A씨는 금융감독원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에게 속아 휴대폰 원격조종이 가능한 특정 프로그램(앱)을 설치했다.

이후 이 사기범은 대출금 및 예금 등 총 1억9천900만원을 다른 계좌를 이체해 빼갔다.

이뿐만이 아니다.

물품 대금을 대신 받아 전달해줄 것을 요구받고 계좌번호를 알려준 후 해당 계좌에 이체된 자금을 사기이용계좌로 송금해 피해를 당하는 물품대금 전달 수법도 있다.

메신저로 지인을 사칭하기도 한다.

메신저로 지인을 사칭한 후 비밀번호와 인증서 오류 등을 명목으로 타인 계좌로 급히 자금을 이체할 것을 유도한다.

또 구매 대행 알바라고 속이고 계좌 정보를 알아내는 한편, 상품권 구매를 대행해주도록 유도해 보이스피싱 자금세탁에 이용하는 대행 알바를 가장하는 수법도 쓴다.

회사원 김모(38)씨는 “검찰이나 대출과 관련한 금융기관 직원이라며 전화를 해오는 경우가 꽤 있었고 하마터면 속을 뻔도 했었다”며 “사기범들이 일반인들을 속이기 쉬운 수법을 쓰고 있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현재 통화 중 보이스피싱 사기로 특정되는 단어 등이 사용될 때 경고 음성과 진동 알림을 제공해 피해를 예방하는 인공지능 앱을 개발해 시범운영 중”이라며 “이 앱의 정확도 제고 등 시스템의 고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