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연무 기자
정연무 기자

[일간경기=정연무 기자] 우리는 누군가가 몸을 던져 이루어낸 ‘희생의 바탕’ 위에 살고 있다.  

그로 인해 굳게 자리한 초석 위에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1971년 8월 당시, 경기도 광주로 강제이주 당한 철거민 수 만명의 희생이    담긴 ‘8.10 광주 대단지 사건’이 그러하다. 

올해로 50年을 맞이하는 이 사건은 대한민국 근·현대사에 큰 고통을 남긴   상처이다. 아직도 상처는 아물지 못하고 응어리도 풀리지 않았다.

그러나, 그 기억은 희미해지고 이름조차 아는 이들이 많지 않다.

해방 이후의 최초의 대규모 도시빈민투쟁이었던 광주대단지사건은 1971년 8월10일 오후 5시경 서울시장이 주민들의 요구를 무조건 수락하겠다고 약속함으로써 6시간 만에 막을 내렸다. 이 사건으로 주민과 경찰 100여 명이 부상하고 주민 23명이 구속 되었다.

그해 한여름의 광주대단지는 너무나 척박하고 거칠기만 했고, 이날의 기억은 50년이 흘러 하늘의 뜻을 알만큼의 세월이 도는 동안에도 줄곧 왜곡된 채 남아 있다.

그리고, 해마다 8월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이 사건에 대한 역사적 해석이 왜곡을 멈춰야 할 당위성을 부여함에도 불구하고 당시 철거민들의 ‘난동’,‘폭동’설 등은 가짜뉴스의 오랜 뿌리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소문과 맞닿아 있음을 보여준다.

1971년 8월 10일 발생한 ‘광주대단지사건’은, 서울시의 무허가 판자촌 철거계획에 따라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일대 신개발 지역(지금의 성남시 수정구, 중원구)으로 강제이주당한 10만여 도시빈민들이 삶의 벼랑 끝에서 최소한의 자활 대책을 촉구한 생존권 차원의 절박한 외침이었다. 

이들의 울부짖음은 개발 독재 시대의 대표적인 독재 권력의 폭력으로 기억돼야 마땅하다.

‘광주대단지 사건’은 정부 수립 이후 최초로 도시빈민, 철거민, 도시 재개발, 부동산 투기 등의 문제를 적나라하게 노출시킨 사건이다.

“당시 지배세력들이 급조한 도시산업화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모순들을 해소하고자하는 과정에서 온전한 생존권을 이중적으로 박탈당한 정착지 주민들의 조직적 저항운동”이 이 사건의 本質이다.

따라서 이 사건은 정권의 통치세력이 도시 차원에서 행사한 국가폭력에 정착지 이주민들의 저항이 최대치로 드러난 자연 발생적 도시 민중 봉기로 기억되어야 하며 빈민운동의 시발점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하지만 5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왜곡된 역사와 은폐된 진실은 규명되지 않고 있다.

다행히, “해방이후 최초의 도시민중 봉기인 ‘8.10 광주 대단지 사건’은 그대로 성남시의 태동이 되었다 … 그후 50년, 성남시는 ‘8.10 성남 민권운동’으로 명칭을 변경 선언하고, 올바른 이해를 통한 역사적 의미와 가치 재조명에 나섰다.”

은수미 민선 7기 성남시가 출범 이후 8.10광주대단지사건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해 '광주대단지사건 실태파악 및 지원활동에 관한 조례' 입법과 실무위원회 구성, 신고처 개설, 지원등, 당시 희생자와 시민의 명예를 회복시키고 ‘성남시 태동의 역사인 광주 대단지 사건’의 정의가 바로 설 수 있도록 다각도의 노력을 모아 진실의 토대를 마련했다.

그리고, 성남시는 2021년, ‘광주대단지사건’ 50주년을 맞아 ‘8.10 성남 민권운동’으로 명칭을 변경 선포한다.

은수미 성남시장은 이날을 이렇게 표현한다.

“광주 대단지 사건은 성남의 정체성과 뿌리를 찾을 수 있는 단서로 널리 알릴만한 당당한 성남의 역사이다.”

부족한 筆者는 城南의 노력에 박수를 보낸다.

대한민국 도시빈민운동사의 흐름을 바꾼 결정적 전환점으로 평가되는‘광주 대단지 사건’의 새로운 이름 ‘8.10 성남 민권운동’은 50여년 전의 묻혀버린 과거가 아니다. 현재 진행 중인 오늘날 우리들의 自畵像일 것이다. 

반 백년 세월을 불명예와 아픔을 함께했을 희생자와 가족들에게 평화와 행복이 있기를 빌며 위로하지 않을 수 없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