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 남양주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이 폐기 처분됐다. 시민 15만명이 서명에 나서는 등 땀과 열정을 보탰다. 그러나 타당성 조사에서 저조한 결과와 투자심사에서 재검토가 통보되자 구리시는 사업성이 없다는 이유로 서둘러 폐기했다. 한때 황금을 낳는 거위로 평가됐던 사업이 어떻게해서 애물단지로 전락했는지 본보는 6회에 거쳐 '구리남양주테크노밸리, 과연 폐기할 정도였나'의 주제로 심층 해부해 본다.  

 

1. 테크노밸리, 황금알 낳는 거위인가   
2. 양주시는 경사, 구리시는 적막강산
3. 구리시장 공약폐기 사업 포기, 주민 분노
4. 구리시, 애초 테크노밸리 추진 의지 없었다  
5. 구리시, 타당성조사 중투심 근본 대처 미흡
6. 구리시, 테크노밸리 아직 희망있다 

 


구리남양주TV, 시민 15만 서명의 값진 결과물
1만3천명 일자리, 1조8천억원 경제 파급효과

[일간경기=이형실 기자] 구리시 민선 6기 후반인 2017년 11월13일, 지역발전의 터닝포인트라고 할 수 있는 사업의 확보로 시는 최대의 전환기를 맞게 된다. 당시 황금알을 낳는 사업이라고 각 지자체가 탐내는 테크노밸리를 유치하게 된 날이기 때문이다. 경기도가 공모한 테크노밸리는 비록 남양주시와 합작품이었지만 무려 15만명 시민이 서명에 참여해 그야말로 땀과 열정으로 이뤄낸 값진 결과였다.

테크노밸리 입지선정 당시. 왼쪽부터 이석우 냠양주시장, 백경현 구리시장, 남경필 도지사, 이성호 양주시장.
테크노밸리 입지선정 당시. 왼쪽부터 이석우 냠양주시장, 백경현 구리시장, 남경필 도지사, 이성호 양주시장.

사업명은 ‘구리‧남양주테크노밸리 사업’. 정부의 강력한 지원 없이는 개발 불가능한 개발제한구역의 자연녹지지역인 구리시 사노동 21만9800㎡와 남양주시 퇴계원 7만2200㎡ 등 총 29만2000㎡ 면적이 사업부지다. 이곳에 IT(정보통신), CT(문화), BT(바이오), NT(나노) 등 지식산업단지와 주거복합시설이 들어선다. 

교통도 사통팔달이다. 그 당시 수도권은 물론이고 각 지방과 접근성이 쉬워 성남 판교에 버금가는 첨단산업집적지로 성장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전문가들의 호평도 넘쳤다. 서울 기업들의 선호도 역시 판교 다음으로 높았다. 경기도시공사가 51%, 구리남양주도시공사가 49% 등 총 1711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추진될 이 사업으로 1만2820명의 일자리와 1조7717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통계도 나왔다. 

이처럼 과연 테크노밸리 사업은 황금알을 낳은 거위인가. 롤 모델인 ‘판교테크노밸리’를 더듬어 볼 필요가 있다. 구리‧남양주테크노밸리 사업이 확정된 시기의 판교 밸리에 입주한 기업들의 1년 매출액은 약 70조원으로 알려졌다. 입주기업들도 M/S, IBM, HP 등 기업명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세계 굴지의 기업들이 포진돼 있다. 더구나 뜻 있는 기업들이 이곳에 입주하고 싶어도 공실이 없어 시쳇말로 ‘그림의 떡’이다. 이대로라면 지자체의 테크노밸리 유치는 한마디로 ‘대박’인 셈이다. 경기도는 2005년 성남 분당구 삼평동 일대 66만1000㎡ 부지에 판교테크노밸리를 만들어 재정자립도가 빈약했던 성남시에 엄청난 부를 안겨준 것이 바로 그것이다.

사회의 변화도 무쌍하다. 어제의 인력을 오늘의 첨단장비가 대신하듯 사회는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고 있다. 최근 대기업들이 미국 투자를 가시화한 밧데리 분야를 비롯 전기차, 자율주행차와 함께 AI, 빅 데이터, 스마트, 로봇, 웨어러블, 블록체인 등 소프트 분야에 투자하려는 기업들이 많다는 보고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첨단분야에 투자하고 싶어도 연구개발에 필요한 건물을 지을 토지가 없다는 것이 업계의 하소연이다. 이것이 테크노밸리 사업이 필요한 이유다.

판교가 뜨자 첨단산업업계에 화답하듯 경기도는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과 금토동 일대 43만여㎡ 부지에 제2판교테크노밸리도 조성했다. 그리고 구리‧남양주테크노밸리 유치 발표 후 17일 뒤인 2017년 11월30일, 도는 제2테크노밸리 부지 인근인 금토동에 구리남양주 부지의 2배인 58만3581㎡ 규모에 제3판교테크노밸리 조성을 발표했다. 불과 2주 전 구리‧남양주테크노밸리를 지정했으면서도 구리시와 가까운 거리에 또 테크노밸리를 정한 것이다. 

한 인터넷 언론매체는 2019년 3월 중순께 ‘판교는 물론이고 일산 테크노밸리, 제3기 신도시 왕숙자족시설부지 지정 등으로 인해 경쟁력 저하를 우려하는 시각이 지배적’이라는 기사를 게재한 바 있다. 이렇듯 제3판교테크노밸리 조성 발표가 후일 구리시가 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을 폐기하는데 일조를 했다는 지적을 받는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