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 남양주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이 폐기 처분됐다. 시민 15만명이 서명에 나서는 등 땀과 열정을 보탰다. 그러나 타당성 조사에서 저조한 결과와 투자심사에서 재검토가 통보되자 구리시는 사업성이 없다는 이유로 서둘러 폐기했다. 한때 황금을 낳는 거위로 평가됐던 사업이 어떻게해서 애물단지로 전락했는지 본보는 6회에 거쳐 '구리남양주테크노밸리, 과연 폐기할 정도였나'의 주제로 심층 해부해 본다.  

 

1. 테크노밸리, 황금알 낳는 거위인가   
2. 양주시는 경사, 구리시는 적막강산
3. 구리시장 공약폐기 사업 포기, 주민 분노
4. 구리시, 애초 테크노밸리 추진 의지 없었다  
5. 구리시, 타당성조사 중투심 근본 대처 미흡
6. 구리시, 테크노밸리 아직 희망있다 



도 민선7기 공약 중 폐기된 유일한 공약 
판교 버금 갈 개발계획 믿은 주민들 분노

[일간경기=이형실 기자] 경기북부2차테크노밸리 사업에 구리 남양주가 공동으로 유치되던 2017년 11월13일 당시 경기도지사 남경필, 구리시장 백경현, 남양주시장 이석우 등 3개 자치단체장 모두가 자유한국당 소속이었다. 그 다음해 제7대 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경기도지사 이재명, 구리시장 안승남, 남양주시장 조광한 등 3개 단체장 모두가 바뀌었다. 판세가 뒤집힌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이 ‘구리‧남양주테크노밸리 폐기’와 무관하지 않았다는 게 그 당시 지역의 판세였다. 지방자치 30년 동안 단체장이 바뀔 때마다 전 단체장이 계획했거나 추진했던 사업들이 사장되거나 축소되는 일들이 종종 목격돼 왔기 때문이다. 

그 사업이 잘됐건 잘못됐건, 전 단체장이 같은 당이건 다른 당이건 간에 전 단체장의 업적을 지우기 바빴다. 더욱이 당이 다르면 이러한 현상은 두드러졌다. 이로 인해 지자체는 골병이 든다. 이것이 지방자치제도의 폐해다. 단체장의 성숙한 사고와 리더십이 요구되는 이유다.

사진 왼쪽 한 잡지 표지에 모델이 된 안승남 시장, 제목에 월드디자인시티와 테크노밸리 만들어 구리 시민행복특별시 이루겠다는 공약이 선명하다. 오른쪽 이재명 지사 공약실천계획서 내 157번 공약.  
사진 왼쪽 한 잡지 표지에 모델이 된 안승남 시장, 제목에 월드디자인시티와 테크노밸리 만들어 구리 시민행복특별시 이루겠다는 공약이 선명하다. 오른쪽 이재명 지사 공약실천계획서 내 157번 공약.  

‘구리‧남양주테크노밸리’, 이재명 도지사와 안승남 구리시장의 공약이었던 것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지난 8월5일, 한국 유수의 한 경제지가 ‘갈등에 발목 잡힌 지역경제’라는 시리즈 중 ‘구리남양주테크노밸리’에 대한 보도를 했다. 이 신문은 ‘단체장 바뀌자 사업 백지화...구리남양주 IT밸리 땅엔 잡초만’이라는 머리 제목 아래 ‘2018년 선거로 3단체장 바뀌며 구리시 돌연 “사업성 낮다” 발 빼’ ‘“판교처럼 좋아질 줄 알았는데” 개발계획 믿었던 주민들 분노’라는 부제목을 달았다. 

그리고 "경기도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개발하겠다고 밝힌 일산, 양주, 구리 남양주, 광명 시흥, 안양 박달 테크노밸리 가운데 유일하게 구리 남양주만 빛을 보지 못하게 됐다"는 내용과 함께 “테크노밸리 사업이 도지사와 구리시장의 공약이었는데도 폐기했다”고 지적하는 기사였다.

실제로 경기도의 경우 2018년 12월31일 발간된 ‘민선7기 공약실천계획서’엔 365개 공약 가운데 157번 ‘구리‧남양주테크노밸리 조성’이 들어 있었으나 2020년 12월31일 계획서엔 157번이 빠져 있는 것이 발견됐다. 폐기처분된 것이다. 모두 365개 공약 중 폐기된 것은 ‘구리‧남양주테크노밸리 조성’ 공약이 유일하다. 도지사로선 옥 속에 티끌이 박힌 셈이다. 

도는 공약 폐기에 대해 ‘구리시가 사업철회를 요청했기 때문’이라는 구체적인 사유를 밝혔다. 그리고 구설을 염려하듯 전 단체장 추진사업이기에 중단한다는 오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언론과 민원에 적극 대응을 당부하는 회의도 열었다.

구리시는 어떤가. 시민 15만명이 유치를 위한 서명운동에 참여하는 등 시민의 염원이 담긴 구리‧남양주테크노밸리의 폐기를 시작으로 10여 년 동안 추진해 오던 GWDC 사업도 폐기했다. 폐기된 두 가지 사업은 안승남 시장의 공약 중 첫째, 둘째에 랭크될 상당한 비중의 공약이었다. 

그런데도 시민의 의견수렴이나 공청회 등 절차 없이 독단으로 처리했다. 이것만이 아니다. 어렵게 국비를 확보한 인창천 복원사업, 농수산물도매시장 현대화사업도 철회시키고 수백억원의 국비도 반납했다. 모두 다 전 단체장들이 이뤄낸 치적을 없앤 것이다. 

앞에서 언급했듯 경기도가 추진하고 있는 일산, 광명 시흥, 안양 박달, 양주, 구리 남양주 등 5개 테크노밸리 조성 사업에서 유일하게 구리 남양주만 제외, 폐기됐다. 그 이유는 구리시가 먼저 사업철회를 요청했고 함께 공동사업에 나섰던 남양주시는 국가사업으로 전환했다. 옛말에 ‘동업은 하지 말라’는 말이 있듯 남양주시로서는 ‘울고 싶은데 구리시가 뺨을 때려 준 것’ 꼴이 됐다.

2편에서 밝힌 것과 같이 구리시와 함께 테크노밸리를 유치한 양주시는 경사를 맞고 있다. 사업부지가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된 것이다. 그 반면 구리시의 테크노밸리 사업부지는 잡초만 무성하다. 만약 현 시장이 테크노밸리에 대한 추진 의지만 있었어도 양주시처럼 그린벨트가 해제됐을 것이고 사노동 주민들은 50년 동안 재산권 행사도 못 했던 그린벨트가 해제돼 동네는 잔칫집 분위기일 것이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