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등 7개 기관 협의체 출범 이후에도 매년 증가
유동수 의원 "상설전담조직 구성 원스톱 시스템 필요"

[일간경기=홍정윤 기자] 일산에 사는 전직교사 A 씨는 2년 전 핸드폰으로 “저리로 대출해주겠다”는 제안을 받았다. 이에 가족 이름으로 대출을 받고 본인 자금도 털어 상대편이 불러준 계좌로 1억2000만원을 입금했다. 그러나 저리 대출해주겠다던 전화는 보이스피싱이었고 아직도 해결되지 않았다. A 씨는 지금도 그 일을 생각하면 밤에 잠이 안온다고 한다.

유동수 의원은 지난 10년간  10년간 23만건, 피해액 3조 2333억원의 보이스피싱이 발생하고 있다며 상설전담조직 구성 등 관계기관의 관계기관의 개선을 촉구했다. (사진=유동수 의원실)
유동수 의원은 지난 10년간  10년간 23만건, 피해액 3조 2333억원의 보이스피싱이 발생하고 있다며 상설전담조직 구성 등 관계기관의 관계기관의 개선을 촉구했다. (사진=유동수 의원실)

유동수(민주당·인천 계양갑) 국회의원은 위와 같은 사례가 비일비재하자 “지난 7월 말 기준 10년간 23만건, 피해액 3조 2333억원의 보이스피싱이 발생한다. 이는 매일 71건, 9억8000만원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관계기관의 개선을 촉구했다.

또 유 의원은 “2012년 5709건이었던 보이스피싱 사기가 지난해 3만1681건으로 5.5배 급증했다. 피해금액도 11.8배 증가해 2020년 말 기준 7000억원에 달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이스피싱 방지를 위해 금융감독원, 법무부, 경찰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7개 기관이 참여한 협의체가 출범된 이후에도 보이스피싱은 매년 증가할 뿐 줄어들지 않았다”며 “협의체가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비꼬았다.

아울러 “보이스피싱을 막기 위해서는 금융기관, 금융위원회, 수사기관 한 곳만의 노력으로는 달성되기 힘들므로 상설 전담조직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보이스피싱 신고 전화법호는 112도 있고 금감원 1332도 있지만 한곳에 전화만으로 사건이 접수돼야 한다”며 피해자들이 빠르게 대처하도록 제안하고 “대표전화에 전화하면 수사와 예방등 필요한 조치를 한 번에 할 수 있는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